교육역량 강화사업
- 사업명 : 아시아 최고의 특성화 대학을 위한 기반구축사업
- 지원액 : 3,230 백만원
- 사업기간 : 2010. 3. 1~ 2011. 2. 28
- 담당부서 : 기획팀
- 담당자 : 기획팀장 김재식 (Tel: 042-630-9662, E-mail: jskim@wsu.ac.kr)
교육역량강화 지원사업이란?
대학의 교육역량 및 성과를 측정·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사전에 구성된 공식(Formula)을 적용하여 교육역량 및 성과가 우수한 대학을 선정하고, 해당 대학의 성과와 재학생 규모 등을 고려, 교육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, 대학은 지원받은 재원을 스스로의 발전전략에 따라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에 자율적으로 집행(Block Grant)합니다.
세부사업 | 주요 내용 | 국고지원액 |
---|---|---|
합 계 | 3,230,000,000(100%) | |
교육정보제공사업 | 교육 및 취업 포탈사이트 등 다양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배양, 교육의 만족도 제고 등 교육역량을 강화하는데 그 목표를 둠 | 454,800,000(14.1%) |
학력증진 기반프로그램 개발사업 |
글로벌 인재, 전문적 인재, 창의적 인재 육성을 목표로 1년 4학기제 도입을 통해 연간 30주 수업에서 42주로 확대 운영하고 각종 학력증진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및 산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 육성을 통해 취업률 증가 유도 | 516,416,000(16.0%) |
U 캠퍼스기반구축사업 | 교육인프라 선진화 기반 조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캠퍼스 구축을 통해 학생들이 교내의 무선인터넷망을 통한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받음으로써, 교육의 질을 향상시킴 | 188,723,000(5.9%) |
글로벌리더십프로그램 운영사업 |
글로벌리더 인재육성의 일환으로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외국어 경시 대회 및 글로벌 포럼 개최, 관련 우수학생의 외국의 교육 및 해외 연수를 통해 글로벌 리더로서의 역량을 강화 | 748,467,500(23.2%) |
교양교육강화사업 | 목요강좌, 교양교과목 교재개발, 외국어교과목 교재개발,논리적 사고력 배양과 글로벌 리더의 감각적 자질 함양 등 학생들의 교양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양교육 강화 | 75,100,000(2.3%) |
신입생 학력증진 프로그램 운영사업 |
신입생들이 조기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갖추도록 하고 특강을 통한 학습 동기 부여 및 체계적인 학습 지원을 하고자 함 | 120,000,000(3.7%) |
테크노미디어대학구조조정사업 | 대학 내부 구조개혁을 통한 교육역량 및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성장 동력인 녹색산업의 방안으로 방송 통신 육성 산업에 종사 할 전문 인력 양성에 그 목표를 둠 | 285,277,000(8.8%) |
학술동아리 및 산업체 현장 인턴십 지원사업 |
취업 역량 강화를 위하여 비교과로 운영하는 학술 동아리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전공교과목에 대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강화하고 동아리 활동과 현장견학 및 현장실습을 연계함으로써, 사업효과를 극대화함 | 677,500,000(20.9%) |
외식창업프로그램지원사업 | 학생들이 그 동안 배운 조리 실습을 기초로 하여 창업에 필요한 재료구입, 메뉴개발, 운영 등을 직접 수행하며 외식창업 준비를 위한 외식레스토랑을 직접 운영하여 봄으로써 현장의 이해를 통한 창업의 극대화 및 취업률 증가에 그 목표를 둠 | 70,000,000(2.1%) |
창의학력증진센터운영사업 | 창의학력증진센터 운영을 통해 우수 교육 기법의 개발 및 학생들의 창의적 학습 참여 동기부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, 교육효과를 제고시킴 | 68,000,000(2.1%) |
사업 관리 및 운영 | 대학교육 역량강화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 하기위하여 전사적, 체계적 사업관리 운영 | 25,716,500(0.9%) |
자율성과 지표 | 기준값 | 2010년 달성목표값 |
---|---|---|
건강보험 DB 기준 취업률 (%) | 40.7 | 44.8 |
외국어 능력 향상도 (점수) | 256.2 | 306.2 |
여름, 겨울학기 참여 학생 인원 (1학년/명) | 2,200 | 1,760 |
강의 만족도 (점수) | 4.25/5.00 | 4.3/5.00 |
자격증 취득 (건수) | 3,554 | 3,910 |
인턴십 활성화 (명) | 225 | 350 |